Gidhub BE Developer

A 레코드와 CNAME 레코드는 뭐가 다른걸까?

2025-08-31
goodGid

Prologue

  • 회사에서 OnPrem 서버를 Kubernetes로 옮기는 작업을 하던 중

    A 레코드와 CNAME 이란 키워드가 회의 중 나왔는데

    도메인 설정 시 자주 등장하는 A 레코드와 CNAME 레코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A 레코드 (Address Record)

  • 도메인 => IP 주소(IPv4)를 직접 연결하는 레코드이다.

    ex) goodgid.com => 123.45.67.89

  • 즉 사용자가 goodgid.com 을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DNS 조회를 통해 바로 해당 서버의 IP로 접속한다.

  • 그러므로 반드시 실제 IP 주소를 지정해야 하며

    루트 도메인(goodgid.com)에는 A 레코드를 사용한다.


루트 도메인(Root Domain)

  • goodgid.com과 같은 최상위 도메인을 뜻하며

    www와 같은 서브도메인 혹은 접두사가 없는 형태를 뜻한다.

- 루트 도메인 => goodgid.com
- 서브 도메인 => www.goodgid.com, blog.goodgid.com, shop.goodgid.com
  • 위 예시에서 www는 단순히 서브도메인 중 하나일 뿐이고

    서브도메인이 없어도 사이트는 잘 동작한다.

    즉 www.goodgid.com과 goodgid.com은 서로 다른 주소지만 보통 같은 서버로 연결된다.

왜 이렇게 구분할까?

  • DNS에서는 www, blog와 같은 접두사(prefix)를 붙여

    여러 서비스(홈페이지, 블로그, 쇼핑몰 등)를 운영할 수 있게 해준다.

  • 하지만 goodgid.com 자체는 최상위(root) 형태이므로

    특별히 다뤄져야 하므로 A 레코드로 직접 IP를 지정해야 한다.

??? : “특별히 다뤄져야 하므로 A 레코드로 직접 IP를 지정해야 한다.”

  •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goodgid.com 을 입력하면

    DNS는 곧바로 IP를 반환해야 빠르게 접속할 수 있다.

  • 이때 CNAME을 쓰면 다른 도메인을 한 번 더 거쳐야 하므로 불필요한 단계가 추가된다.

    따라서 루트 도메인은 A 레코드 => IP 직결이 가장 효율적이다.

DNS 표준 규칙 : 루트 도메인에 CNAME 금지

  • 루트 도메인에는 CNAME 레코드를 둘 수 없다는 규칙이 있다.

    즉 goodgid.com 같은 루트 도메인에는 CNAME 레코드를 둘 수 없다.

  • 루트 도메인에는 보통 A, MX(메일), NS(네임서버) 등

    여러 레코드가 동시에 필요하므로

    CNAME은 다른 레코드와 공존할 수 없다는 규칙이 있다.

??? : “CNAME은 다른 레코드와 공존할 수 없다는 규칙이 있다.”

  • DNS에서 CNAME 레코드는 특정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 이름으로 완전히 별칭(alias) 처리하겠다는 의미이다.
www.goodgid.com  CNAME  goodgid.net
  • 이러면 www.goodgid.com에 들어오는 요청은 실제로 goodgid.net으로 모두 전달된다.

    여기서 핵심이 다른 레코드와 공존할 수 없다는 점인데

    DNS에서 하나의 이름(예: www.goodgid.com)에는 CNAME 하나만 있을 수 있고

    다른 레코드(A, MX, TXT 등)와 동시에 존재할 수가 없다.

  • 그 이유는 CNAME이 “이 도메인은 완전히 다른 도메인으로 대체된다”라고 선언하므로

    동시에 A 레코드(IP 직접 지정)나 MX 레코드(메일 서버 지정)를 두면 충돌이 발생한다.

  • 그래서 루트 도메인(goodgid.com)에는 CNAME을 못 쓰고

    직접 A 레코드로 IP를 지정해야 한다.

A 레코드 + 다른 레코드 (가능)

goodgid.com.  IN A 123.45.67.89
goodgid.com.  IN MX 10 mail.goodgid.com.
goodgid.com.  IN TXT "v=spf1 include:_spf.goodgid.com ~all"
  • 브라우저 : A 레코드로 접속 → 123.45.67.89

  • 메일 서버 : MX 레코드를 참고 → mail.goodgid.com

  • 인증 : TXT 레코드 참고 → SPF 설정

CNAME + 다른 레코드 (불가능)

www.goodgid.com.  IN CNAME other.goodgid.com.   ← OK
www.goodgid.com.  IN A 123.45.67.89             ← ❌ 충돌
www.goodgid.com.  IN MX 10 mail.goodgid.com.    ← ❌ 충돌
  • CNAME은 별칭(alias)이므로

    그 이름의 모든 질의는 CNAME 대상 도메인으로 넘어가야 하고

    같은 이름에 A, MX, TXT 등을 설정하면 DNS 표준 위반이다.


CNAME 레코드 (Canonical Name Record)

  • 도메인 => 다른 도메인으로 연결하는 레코드이다.

  • 즉 IP를 직접 가리키지 않고

    이미 존재하는 다른 도메인을 참조한다.

    ex) blog.goodgid.com => ghs.googlehosted.com

  • IP 주소를 몰라도 다른 도메인으로 우회해서 접속 가능하므로

    CNAME은 별칭(alias) 역할을 한다.

  • 루트 도메인(goodgid.com)에는 CNAME을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A 레코드를 사용해야 한다.


Summary

  • 루트 도메인, A 레코드, CNAME 레코드 등 개념에 대해 알아봤다.

    특히 루트 도메인에서는 A 레코드를 적용해야한다는 점을 잘 이해하도록 하자!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