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Community일 경우엔 원하는 빌드로(Mavean, Gradle)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세팅을 해줘야한다.
해당 글에서는 Ultimate와 같은 환경을 직접 셋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Spring은 Front Controller 패턴을 사용한다.
모든 요청을 Controller 1개 받아서
해당 요청을 처리할 handler에게 위임(=dispatch)한다.
어노테이션(Annontion)은 정말 유용한 자바의 구문이다.
기본적인 종류는 몇가지에 한정 되지만 커스텀 어노테이션(Custom Annotation)을 만들 수 있다.
어노테이션의 본질적인 목적은 소스 코드에 메타데이터를 표현하는 것이다.
단순히 부가적인 표현뿐만 아니라 리플렉션(reflection)을 이용하면 어노테이션 지정만으로도 원하는 클래스를 주입이 가능해진다.
Intellij에서 Maven 프로젝트를 만들때 Create From Archetype 버튼이 보인다.
Create From Archetype의 리스트들은 Maven이 미리 만들어놓은 프로젝트라 생각할 수 있다.
만약 간단한 웹 MVC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한다면 maven-archtype-webapp을 선택하면 된다.
또한 maven-archtype-webapp을 선택하면 하단에 해당 프로젝트의 간단한 Description을 볼 수 있다.
A Simple Java Web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