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HyperText인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을 의미한다.
마지막에 S를 붙인다면 Secure라는 뜻으로 보안이 강화된 통신규약을 의미한다.
HTTP는 암호화가 되어있지 않은 방법으로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주고받는 메시지를 알아내기가 쉽다.
그러므로 서버로 비밀번호나 계좌번호 등 중요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경우에는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Nginx의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
Nginx 개발자들이 이를 수정하여 업데이트를 하더라도
현재 자신이 사용하는 서비스의 Nginx Version은 최신이 아닐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악의적인 공격자들은
Nginx의 Version을 보고 발견된 Nginx 보안 취약점을 통해 서버에 공격을 가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악의적인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Nginx의 Version을 Reponse에서 명시하지 않도록 하는 옵션이 server_tokens 이다.
Github을 구경하다 굉장히 재미난 기능을 봤다.
Commit 시간을 기준으로
( Morning / Daytime / Evening / Night )
어느 시간에 Coding을 가장 많이 했는지 알려주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개발하신 분은
TW(Tawian) 출신의 maxam2017이란 Github ID를 사용하시는 분이시고
관련 Repository는 productive-box이다.
Linux 환경에서
Shell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싱글 쿼터(‘)가 포함된 Command Line 명령어를
alias로 설정을 하려고하니 적용이 되지 않았다.